pink factory

1.5M ratings
277k ratings

See, that’s what the app is perfect for.

Sounds perfect Wahhhh, I don’t wanna
image
image

홍천횡단: 생동의 축지법 (2023), 216쪽; 참여작가: 요한네스 클레멘, 이은경, 카트린 바움개르트너, 플로리안 카륵, 필립 사일러, 얀 가르트네르, 막시밀리안 수위착, 강영민, 전수현, 배미정, 마리안 와이블, 이름; 글: 남웅, 이택광, 박준성, 장수미, 이름, 이안 코이츤베악, 김민관

HONGCHEON CROSSING: LONG DISTANCE SHORT CUTS OF LIFE (2023), 216pp; ARTISTS: Johannes Klemen, Lee Eun Kyong, Katrin Baumgärtner, Florian Karg, Philipp Seiler, Jan Gartner, Maksymilian Suwiczak, Kang Youngmean, Jeon Suhyun, Bae MiJung, Marian Waibl, Name; TEXTS: Nam Woong, Alex Taek-Gwang Lee, Joon-Sung Park. Su-Mi Jang, Name, Jan Creutzenberg, Kim Min-kwan

Source: pinkindypub
catalogue Exhibition2023Hongcheoncrossing 2023

“Hongcheon Crossing” archival video “홍천횡단: 생동의 축지법” 기록 동영상

videos shot by Kim Min-kwan, Yong Hae Sook, Jeon Suhyun, Name
촬영: 김민관, 용해숙, 전수현, 이름

edited by Lee Kee Soo
편집: 이기수

video excerpts from art works by Katrin Baumgärtner, Kang Youngmean, Maksymilian Suwiczak
동영상 작품의 부분적으로 사용됨: 카트린 바움개르트너, 막시밀리안 수위착, 강영민

photos by Kim Min-kwan, Yong Hae Sook, Kim Hyeok-su, Name, Bae MiJung, Philipp Seiler, Marian Waibl, Jan Gartner
사진: 김민관, 용해숙, 김혁수, 이름, 배미정, 필립 사일러, 마리안 와이블, 얀 가르트네르

music: Black Air, “The Air at Night smells different”
from the album “Impending Bloom” (2023)
음악: 블랙 에어

This video was created with the support of “2023 ARKO Selection Visual Art”
이 영상은 2023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시각예술창작산실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Exhibition2023Hongcheoncrossing 2023 video video2023

Pink Factory 2023 International Exhibition

HONGCHEON CROSSING: Long Distance Short Cuts of Life

  • 2023.09.23 (sat) – 10.22 (sun)
  • Hongcheon Art Museum (Gangwon-do, Hongcheon-gun, Hongcheon-eup, Huimang-ro 55)
  • open 10am–6pm, closed every Monday and Sept. 29th

PARTICIPATING ARTISTS: Jan Gartner, Kang Youngmean, Katrin Baumgärtner, Bae MiJung, Philipp Seiler, Maksymilian Suwiczak, Marian Waibl, Name, Lee Eun Kyong, Jeon Suhyun, Florian Karg, Johannes Klemen

  • director: Yong Hae Sook
  • curator: Kim Min-kwan
  • associate curator: Kyoung Jae Cho
  • coordinator: Aletheia Hyun-Jin Shin
  • design: Marian Waibl
  • hosted by Hongcheon Regional Culture Space “Pink Factory”
  • funded by Arts Council Korea (ARKO)
  • support: Hongcheon Town,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 Hongcheon, Hongcheon County, Hongcheon Central Market Association, Jungang Inn, Hongcheon Village Heads’ Council

OPENING 09.23 (sat), 5 pm, opening performances 6:30 pm

  • part 1: Pansori (singer: Kim Oksun, drummer: Lim Myeongseon
  • part 2: Black Air (band members: Florian Karg, Stephan Leeb, Marian Waibl, Philipp Seiler)
Exhibition2023Hongcheoncrossing 2023

분홍공장 2023 국제전시회

홍천횡단: 생동의 축지법

  • 2023.09.23 (토) – 10.22 (일)
  • 홍천미술관 신관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읍 희망로 55)
  • 관람 시간 10시-18시, 매주 월요일 및 추석 당일 휴관

참여 작가: 얀 가르트네르, 강영민, 카트린 바움개르트너, 배미정, 필립 사일러, 막시밀리안 수위착, 마리안 와이블, 이름, 이은경, 전수현, 플로리안 카륵, 요한네스 클레멘

  • 기획: 용해숙
  • 큐레이터: 김민관
  • 협력 큐레이터: 조경재
  • 코디네이터: 신현진
  • 디자인: 마리안 와이블
  • 주최/주관: 홍천 지역문화 공간 “분홍공장”
  • 후원: 한국예술문화위원회 (시각예술 창작산실 우수전시지원)
  • 도움: 홍천읍, 홍천군 도시재생지원센터, 홍천군, 홍천미술관, 홍천중앙시장 상인회, 중앙여관, 홍천읍이장협의회

개막식 09.23 (토), 17시, 개막 공연 18시 30분

  • 1부: 판소리 (소리꾼: 김옥순, 고수: 임명선)
  • 2부: 블랙 에어 (밴드: 플로리안 카륵, 슈테판 렙, 마리안 와이블, 필립 사일러)
Exhibition2023Hongcheoncrossing 2023

Hongcheon Crossing: Long Distance Short Cuts of Life

About the exhibition:

Twelve artists from Austria, Germany, and South Korea, participated in Pink Factory’s 2023 project “Hongcheon Crossing”. Their month-long residency in Hongcheon Town began in early September with a field trip. Divided into two teams, the artists explored Palbongsan and Odaesan, two mountains located in the east and west of Hongcheon County, respectively, visiting the of their respective “side” of Hongcheon. Rather than connecting these opposite symbolic strongholds of Hongcheon, these “crossings” are more about how each artist imagines the remaining places they did not visit. After their separate mountain trips, all artists met at the Donghak Memorial in the centre of the county, to remember the revolutionaries who dreamed of a new era and reflect on the present together, thus completing their own physical journey to Hongcheon. Following these excursions and several introductory workshops, the artists completed their work in Hongcheon Town, at temporary studios in the former Jungang Inn and at Pink Plant, an art space on the roof of Central Market. The exhibition “Crossing Hongcheon” presents the results of their artistic explorations and collaborations.

Curator’s Notes:

“Hongcheon Crossing” first testifies to the longitudinal expansion of Hongcheon County from east to west. The time it takes to move between the two ends of the region – the largest one in South Korea – simultaneously shows the limits imposed by physical distance and the possibilities of connections between them. The “long distance short cuts” referred to in the title, then, can be understood as boosters for those connections. They imply both force (i.e. speed) and the saving of force. Reduction turns into production. The transcendent force, as a singular entity, is directed to ancient times, demanding irrational linguistic and mathematical systems that differ from those of modern civilization and preserving a blurred order of visible reality.

Consequently, the act of “crossing” is an attempt to correct a topological misinterpretation of the “local”. It is not about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but about sensing the unevenness of the local itself, about establishing itself through its own dialectical elevation. The artists, all of a sudden thrown into unfamiliar territory, need to hold on to something. Not to protect themselves from an unfamiliar environment or to create new forms of art, but to adjust their fragile bodies to the excessive imagery of a particular place. They are, so to speak, in search of “short cuts” within their body that can reconcile the “long distance” between silent inside and an outside that extends beyond the region.

(Kim Min-kwan, curator)

Exhibition2023Hongcheoncrossing 2023

홍천횡단: 생동의 축지법

‘홍천횡단’은 동서로 긴 홍천 지역을 지시한다. 양 끝의 두 지점이 물리적 거리의 한계와 그것을 잇는 연결 가능성을 동시에 보여준다면, ‘생동의 축지법’은 그 연결에 부스터를 단 격이다*. ‘축지법’은 힘(=속도)과 힘의 감축을 동시에 구성한다. 힘을 빼고서 힘을 생성한다. 초월적 힘은 하나의 개체들로, 고대의 시간으로, 비합리적 언어 체계로 향한다. 곧 축지법은 각각 하나의 몸을 가정하며, 근대의 기계 문명과 다른 셈법을 요청하며, 가시적인 현실 질서를 흐릿하게 보존한다**.

실상, ‘홍천’은 행정 단위의 편재일 뿐 그 안의 실질적인 홍천의 언어들을 통합하지는 않는다. 그에 비해 홍천강은 홍천을 동서로 횡단한다. 그리고 예전부터 매우 오랫동안 다른 문화적 생산양식의 차이를 가져왔다. 따라서 ‘횡단’은 자연과 문명의 이중적 질서에 따라 다른 의미를 파생한다. ‘연결과 분리.’ 이러한 지역은 근대 수송 체계를 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무수한 별자리들을 잇는 하나의 대륙에 가깝다. 횡단은 또한 분단의 이미지를 미약하게 지지한다. 곧 분단에 대한 무의식이 굴절된 것일 수도 있다―남북에서 동서로.

축지법은 오늘날에는 가속화된 자본주의의 흐름에 예속되며, 속도의 도입에 따른 감산된 거리에 대한 지연된 미래를 이야기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는 앞선 ‘하나의 개체들”이 예술가들이라면, 낭만주의적 시간의 질서를 재현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여기까지는 아마도 절대적인 고유명사와 비언어적 언어가 공존하는 본 제목으로부터 예상되는 바일 수 있다. 다시 축지법에서 횡단으로, 홍천으로, 곧 역순으로 되짚어 온다면, 의미는 갱신될 것이다. 도약과 연결, 그리고 지역에 도달하면, 초월의 개념은 현실의 몸이라는 한계와 만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지역을 어떻게 통과할 것인가***. 공고한 것을 흐트러트리는 대신 접근하기, 투명한 것을 노출하는 대신 덧대기, 현재를 수용하는 대신 역사를 들여다보기. 아마도 그러한 방식들을 축지법으로서의 예술이라 부를 수 있을까. 예술은 어떤 것에 대한 관점을 창안한다. 그 관점이 현실 너머에 다른 현실이 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예술은 유효하다. 그것이 하나의 유희이거나 속삭임이거나 가벼운 것이어도 말이다.

결과적으로, 횡단은 ‘지역’에 관한 안팎의 오역을 바로잡으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지역과 바깥의 위상차가 아니라, 지역 자체의 요철을 감각하는 것, 스스로의 변증법적 고양을 통해 자신을 정립하는 것. 안의 입구를 조망하며 바깥의 출구를 정향하는 것. 어느 날 낯선 지역에 던져진 예술가들은 무언가를 붙잡아야 한다. 불안정한 환경으로부터 스스로를 안정화하거나 예술의 새로운 형식을 창조하기 위해서라기보다 초과된 지역의 이미지를 투과하는 자신의 연약한 신체를 조정하기 위해. 곧 우묵한 안과 튀어나온 바깥을 조율하는 신체 내 축지법을 가동시키기 위해. (김민관 큐레이터)

* 오스트리아, 독일, 한국의 12명의 작가는 두 팀으로 나눠 팔봉산과 오대산을 답사하며 ‘홍천횡단’ 프로젝트의 본격적인 시작을 열었다. 홍천 동쪽과 서쪽에 자리한 팔봉산과 오대산이 각 지역의 상징적 거점이라면, 두 팀은 각자의 지역에 머물렀고, 따라서 횡단은 두 장소를 잇기보다 가지 않은 나머지 장소를 각각의 주체가 상상하는 방식에 가깝다.

** 팔봉산과 오대산 답사 이후, 두 팀은 마지막으로 동학혁명군 전적지에서 합류하며 물리적인 홍천 이동의 일정을 마쳤다. 곧 새로운 시대에 대한 열망으로 혁명을 꿈꾸던 이들을 ‘함께’ 기억하며, 현재를 되비쳐 보고자 했다.

*** 12명의 작가는 9월부터 답사를 포함해 홍천에서 한 달 살이를 시작했다. 특히 답사 이후에는 홍천 읍내에서 유휴공간으로 남은 중앙여관, 그리고 중앙시장 옥상에 자리한 분홍별관에서 작품을 완성시켰다.

Exhibition2023Hongcheoncrossing 2023
image
image
image
image

JOHANNES KLEMEN 요한네스 클레멘

*1985 born in Austria, based in Vienna 오스트리아 출생, 빈 활동

A.I. Buddha A.I. 부처

used TV, acrylic paint, permanent markers, turtle figurines, variable installation, 2023

중고 텔레비전, 아크릴, 사인펜, 거북이 인형, 가변설치, 2023년

Artist Statement 작가 노트

The work is inspired by the “Worinseokbo” text displayed at Sutasa temple. On the TV screen you can see a transcription of the text. Koreans may be able to read the text, although the meaning might stay hidden. If you use a translation app on your mobile phone the A.I. will randomly translate it into dadaistic texts. You may try it! You should let it translate from Korean to English, German or any other language. Then you could make a screenshot and translate it back to Korean. Maybe you find meaning in the at first seemingly nonsensical texts. It’s up to you to interpret it!

이 작업은 수타사에 전시된 월인석보 텍스트에서 영감을 받았다. TV 화면에서는 그 텍스트의 필사본을 볼 수 있다. 한국사람은 읽을 수 있겠지만 의미는 숨겨져 있을 수 있다. 핸드폰의 번역 앱을 사용하면 A.I.는 무작위로 다다스러운 텍스트로 번역할 것이다. 직접 한국어에서 영어, 독일어 또는 다른 언어로 번역해 볼 수 있다. 그런 다음 스크린샷을 찍어 다시 한국어로 번역하면 처음에 무의미해 보이는 텍스트에서 의미를 찾을 수도 있을까? 이것은 여러분이 해석하는 데 달려 있다!

Curator Note 큐레이터 노트

Johannes Klemen’s ‘translation game’ is a form of self-ridicule in that it resembles an earnest attempt by a stranger, yet under the assumption that it is bound to fail. The play is more complex, though, as it approaches the disappearance of meaning rather than its complete evaporation. It is, in this sense, similar to Freud’s game of ‘Fort-Da’ (German for ‘Gone-There’), operating as a defense mechanism against the absence of the longed-for object. (Kim Min-kwan)

요한네스 클레멘의 ‘번역 놀이’는 이방인으로서의 절실한 시도와 닮아있으면서도 그것이 실패할 수밖에 없음을 가정한다는 점에서 자조적이다. 이러한 놀이는 의미의 증발을 기획하기보다 의미의 실종에 다가서려 한다는 점에서 다소 복잡한 지층을 이룬다. 이는 마치 프로이트가 말한 포르트-다 놀이가 실은 그리워하는 대상의 부재에 대한 방어기제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듯하다. (김민관)

Exhibition2023Hongcheoncrossing JohannesKlemen artist 2023
image
image
image

LEE EUN KYONG 이은경

*1984 born in Senegal, based in Seoul 세네갈 출생, 서울 활동

Sutasa 수타사

acrylic on canvas, 53.5×73cm, 2023

캔버스천에 아크릴, 53.5×73cm, 2023년

Shaman (Blade-General Bodhisatthva) 작두장군보살

acrylic on canvas, 38.5x46cm, 2023

캔버스천에 아크릴, 38.5x46cm, 2023년

Artist Statement 작가 노트

Untangling the short cuts of crossing Hongcheon into the realms of the living and the dead.
Proceeding through the human body, a passageway. Those who are joint by this channel also need a space to keep their physical form. As an outsider, I simply tried to paint the outside of this space, its bare skin.
In the same sense, the lives of religious persons, whether Buddhist, Christian, or whatever, mediate between humans and god(s). And since they are also human beings themselves, they need a space in reality to gather and practice, which is revealed to us, the outsiders, in the form of a house or a temple or a church. I can merely see the outside of it, and I can only paint it.

홍천횡단 축지법을 이승과 저승으로 풀어보다.
인간 신체로 경유, 몸이 통로. 그 통로로서 매개하는 그들도 인간의 육체를 뉘일 집이 있어야 한다. 나는 그냥 외부인으로서 그 집 바깥(표피)만을 그려보았다.
같은 의미로 종교인으로의 삶 역시 그것이 불교든 그리스도교든 무엇이든 간에 신과 인간을 매개하는데, 그들 역시 인간이기에 모여살고 수행할 공간이 현실에 필요하다. 그것은 집의 형태나 절과 교회의 형태로 외부인인 우리에게 드러난다. 나는 또 그것의 외부만을 볼 수 있고 그려낼 수 있을 뿐이다.

Curator Note 큐레이터 노트

What could landscapes mean to Lee Eun Kyong, an artist who used to paint many variations of her self-portrait? As a combination of heterogeneous colors and lines and as an environment of a certain atmosphere, they reveal the distance between artist and object. The artist reproduces the landscape as such: behind their unique appearance, the artist remains as an invisible figure, trying to stabilize it. (Kim Min-kwan)

평소 자화상의 여러 변주된 형상을 주로 창출해온 이은경에게 풍경이란 어떤 의미일까. 그것은 색과 선의 이질적 조합의 형상 그리고 어떤 분위기의 환경으로서 작가와 사물과의 거리를 드러낸다. 작가는 그것을 고스란히 재현한다. 곧 독특한 보임의 형식 뒤에 그것을 안정화하려는, 보이지 않는 작가의 형상이 있다. (김민관)

Exhibition2023Hongcheoncrossing LeeEunKyong artist 2023
image
image
image
image

KATRIN BAUMGÄRTNER 카트린 바움개르트너

*1979 born in Germany, based in Vienna 독일 출생, 빈 활동*

Braiding Hongcheon 홍천 엮기

mixed media (woven grass, hair, strings, found and bought gifts, branches, reeds, feathers etc.), performance photographies, video, 13:45 (performer: Katrin Baumgärtner, photography: Jan Gartner, video: Florian Karg, place: Hongcheon river), variable installation, 2023

혼합매체 (엮은 풀, 머리카락, 끈, 찾아내거나 구매한 선물, 나뭇가지, 갈대, 깃털 등), 퍼포먼스 사진, 동영상, 13:45 (퍼포머: 카트린 바움개르트너, 사진 촬영: 얀 가르트네르, 동영상 촬영: 플로리안 카륵, 촬영지: 홍천강), 가변설치, 2023년

Artist Statement 작가 노트

Collecting. Questioning. Touching. Smelling. Taking. Receiving. Thanking. Giving? Relating. Ritualizing. Apologizing. Listening. Socializing. Sharing? Talking. Communicating. Dancing. With? Feeling. Enduring. Meditating. Being. With? Singing. Suffering. Deciding. Digesting. Understanding. Tearing. Moving. Weaving. Interacting?

수집. 질문. 만져보기. 냄새 맡기. 가져오기. 받기. 감사. 주기? 관련. 의식화. 사과하기. 듣기. 소통하기. 공유? 이야기하기. 의사소통. 춤추기. 함께? 느끼기. 견디기. 명상하기. 존재. 함께? 노래 부르기. 고통 받기. 결정하기. 소화하기. 이해하기. 찢어지다. 움직이기. 짜맞추기. 상호 작용하기?

Curator Note 큐레이터 노트

By installing numerous objects collected in Hongcheon together with video footage of lights attached to her body, Katrin Baumgärtner seeks to construct a new sense of connection. The light-human evokes an avatar embodying the world as a network of simultaneous interfaces. The artist invites the audience to link body and consciousness with her work. The hope for ‘connection’ transcends the distance of time and space, the institutional context of the exhibition space, and results in a meeting with a shamanic desire for transcendence. (Kim Min-kwan)

카트린 바움개르트너는 홍천에서 수집한 여러 오브제를 활용하고 조명과 신체를 연결하는 비디오 영상을 함께 설치해 연결에 대한 새로운 감각을 구성하고자 했다. 조명-인간은 동시적인 네트워크 연결망으로서의 세계를 체현하는 새로운 인간상을 유비하는 것으로 보인다. 작가는 관객의 사물과 작업과 연결됨의 의식, 몸을 요청한다. 여기서 ‘연결’에 대한 희망은 전시장의 제도적 문법을 경유하며 시공간의 거리를 벗어나고, 결과적으로 샤머니즘적인 초월에 대한 희구와 만난다. (김민관)

Exhibition2023Hongcheoncrossing KatrinBaumgaertner artist 2023
image
image
image
image

FLORIAN KARG 플로리안 카륵

*1978 born in Germany, based in Vienna 독일 출생, 빈 활동

We sing to Hongcheon, Hongcheon sings to us 우리는 홍천에게 노래하고, 홍천은 우리에게 노래한다

wood, stones, sound, 7:17, variable installation, 2023

나무, 돌, 사운드, 7:17, 가변설치, 2023년

Artist Statement 작가 노트

We press our face against the ground, feel the earth, listen to the sounds that are familiar, strange, calming, annoying. We wrap ourselves in it, take it with us, process it. Let’s sing back to the earth, to the gift we received by her. May this be a beautiful duet.

우리는 얼굴을 땅에 대고 땅을 느끼며 익숙하고 이상한, 진정한, 짜증나는 소리를 듣는다. 우리는 그 소리에 감싸여, 그것을 가져가고, 처리한다. 땅에게 노래를 부르자, 그녀로부터 받은 선물에 대한 우리의 답례로. 이것이 아름다운 듀엣이 되기를 바란다.

Curator Note 큐레이터 노트

Florian Karg imagines an exchange or union between human and earth. Rather than taking a humble human position, this encounter vividly captures a trance-like consciousness. A circular wooden panel connected to speakers creates a vibration, as the sound emitted from the earth is transformed into power and energy, which are then transmitted to our bodies. We live under earthly conditions. Why did the artist recover these sensations in Hongcheon? And how? (Kim Min-kwan)

플로리안 카륵은 땅과 인간의 교류 혹은 합일을 상상한다. 땅과 인간의 맞닿음은 겸허한 인간의 위치보다는 트랜스되는 인간의 의식을 생생하게 포착하게 한다. 스피커와 연결된 원형의 나무 패널은 진동을 일으킨다. 땅이 일으키는 소리는 힘과 에너지, 우리의 몸에 전해지는 진동으로 변환된다. 우리는 땅 위의 조건에서 살아가기 때문이다. 작가는 왜 홍천에서 이러한 감각을 되찾은 것일까. 그것은 어떻게 가능한 것일까. (김민관)

Exhibition2023Hongcheoncrossing FlorianKarg artist 2023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PHILIPP SEILER 필립 사일러

*1989 born in Austria, based in Vienna 오스트리아 출생, 빈 활동

Headspace 머리공간

wood, cloth, paint, photos, sweat, 120×140×180cm, 2023

나무, 천, 물감, 사진, 땀, 120×140×180cm, 2023년

Artist Statement 작가 노트

By stepping inside the heptagon shape and spinning it around while focusing on a single point, the photos arranged inside portray an approximation of life and experiences in Hongcheon. Dizziness may set in, just as life itself can be a dizzying affair sometimes. Still we try to stay on our feet and move forward to the next place, the next ordeal, the next dream, step by step until the spinning stops.

칠각형 구조물 안에 들어가 한 점에 집중하며 빙글빙글 돌면 내부에 배치된 사진들을 통해서 홍천의 삶과 경험에 가까운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삶 자체가 때때로 어지러울 수 있는 것처럼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다. 그래도 우리는 돌고 있는 세상이 멈출 때까지 한 걸음 한 걸음 다음 장소로, 다음 시련으로, 다음 꿈으로 나아가서 노력한다.

Curator Note 큐레이터 노트

Philipp Seiler constructed an installation similar to the zoetrope, an early cinematic device in which images juxtaposed inside a rotating cylinder turn into moving images. The cylinder is large enough to enter, so that the viewer can experience a ‘cross-over’ stream of consciousness. But the cylinder is only loosely attached and does not turn regularly. The resulting lack of smoothness has to be countered by the viewer’s active participation, comically indicating the gap between industrialized apparatus and handcrafted art work. (Kim Min-kwan)

필립 사일러는 돌아가며 안의 이미지가 영상을 이루는 초기 영상 장치인 조트로프(zoetrope)와 유사한 설치 장치를 구성했는데, 특히 원통을 크게 만들어서 관람객이 그 안에 들어가서 이미지들을 관람하며, 의식의 ‘횡단’을 경험하게 된다. 곧 스쳐 지나가는 의식의 흐름을 발생시킨다. 그럼에도 이러한 장치는 그것의 머리가 무거운 탓에, 그것을 헐겁게 결합한 탓에 제대로 회전하지 못한다. 장치의 매끈하지 못함은 관객의 조금 더 적극적인 참여에 의해 완성되어야 하는 운명이다. 곧 이 장치는 산업화된 기구와 수공예적 예술 작업 양식의 간격을 우스꽝스럽게 지시한다. (김민관)

Exhibition2023Hongcheoncrossing PhilippSeiler artist 2023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JAN GARTNER 얀 가르트네르

*1984 born in Austria, based in Vienna 오스트리아 출생, 빈 활동

Wir sehen Dinge ohne Namen mit schleierhaftem Sinn (We See Nameless Things with Veiled Meaning) 이름 없는, 가려진 의미만 있는 사물을 본다

tent cloth, 200×430cm, 2023

텐트 천, 200×430cm, 2023년

Artist Statement 작가 노트

Aus Knochen, Haut und Blut.
Aus Ziegel, Stein und Papier.

Die Zeit hält still. Kontur verschwimmt.

Eine bloße Erinnerung.
Nur noch Schein vergangenen Seins.
Die Türen öffnen sich erneut.
So zieht ein, ihr Wesen vergangener Orte.
Und füllt den Raum mit Geschichten aus dem Jenseits.

Das Haus ein Gefäß,
nun wieder mit Kontur.

뼈와 피부, 피로 만들어진 것,
벽돌과 돌, 종이로 만들어진 것.

시간이 멈춘다.
윤곽이 흐려진다.

한 기억뿐.
지나간 존재의 흔적만 남아 있다.
문이 다시 열린다.
그럼 들어오라, 지나간 곳의 존재여.
공간 너머의 이야기로 가득 채우라.

선박이 된 집은,
다시 윤곽이 나타난다.

Curator Note 큐레이터 노트

Jan Gartner illuminates the traces of ghosts and absences at the Central Inn, which lost its function as a lodging place and has been abandoned for some time. A (German) inscription on the door – “The door is reopened. Come in, then, you who have passed…” – along with a chair pulled out of a window and another one hanging from the ceiling, the artist created a holistic space and captured it in a single photography. For the artist, ghosts are not objects of horror and fear. They rather have a capacity for self-determination that points towards liberation. Nevertheless, ghosts result from a history of eternal repetition and suffering, a negative feedback loop of imperialist encroachment on European colonies. As a result, by becoming a ghost himself, Jan Gartner uses history as an empty medium to pass through. (Kim Min-kwan)

얀 가르트네르는 한동안 여관의 기능을 상실하고 방치돼 있던 중앙여관을 유령과 부재의 흔적으로서 조명하고자 했다. 문에 (독일말로) 적은 시―“문이 다시 열린다. 그럼 들어오라, 지나간 곳의 존재여…”―와 함께 창문으로 빠져나온 의자, 천장에 매달린 의자들 등으로 공간을 전체적으로 연출하고 이를 하나의 사진으로 촬영했다. 유령은 작가에게 공포와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라, 해방의 출구를 향하는 자기 주체적인 역량을 지닌 대상으로 놓인다. 그럼에도 유령은 고통의 영원한 반복이라는 역사를 증언한다는 점에서, 유럽의 식민지에 대한 제국주의적 침탈의 역사를 음의 피드백으로 되먹이는 것일까. 결과적으로, 얀 가르트네르는 스스로 유령-되기를 자처함으로써 자신을 텅 빈 매체로 두고 역사를 통과시킨다. (김민관)

Exhibition2023Hongcheoncrossing JanGartner artist 2023
image
image
image
image

MAKSYMILIAN SUWICZAK 막시밀리안 수위착

*1981 born in Poland, based in Vienna 폴란드 출생, 빈 활동

Lost in Translation 번역 중 손실

Worinseokbo, or: The Proper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 월인석보, 혹은 훈민정음

video, 03:20, variable installation, 2023

동영상, 03:20, 가변설치, 2023년

Getting Fed in South Korea 대한민국에서 먹이를 받다

video, 03:20, variable installation, 2023

동영상, 04:32, 가변설치, 2023년

Salvador Dalí 살바도르 달리

video, 03:34, variable installation, 2023

동영상, 03:34, 가변설치, 2023년

Artist Statement 작가 노트

난 이해가 안 돼요, I don´t understand, nie rozumiem, ich verstehe nicht…

The first video is, in a way, a collaboration between Johannes Klemen and myself. As we both discovered in the Sutasa temple, the “Worinseokbo” text on display there, while presenting an enigma to Korean linguists, seems to provide an endless amount of dadaistic texts when scanned by a modern, AI-supported translation app like Papago. While Johannes decided to use this fact for his installation, I on the other hand took the approach of converting the given text into audio, underlying it with music, and translating it back from German into Korean via subtitles.
The second video is the music video of a song that I’ve recorded while staying in Hongcheon, which deals with eating, drinking and failing at the arts.
The third and last video is a short, sort of ‘interview’ Jeon Suhyun did with me on the rooftop of the market hall one evening, where I basically talk about my fears of failing and being lost.

첫 번째 영상은 어떻게 보면 요한네스 클레멘과 협력해서 만든 것이다. 수타사에 전시된 월인석보의 텍스트는 한국어 언어학자들에게는 수수께끼 같은 존재이지만, 파파고같은 인공지능 번역앱으로 스캔하면 무궁무진한 ‘다다’스러운 텍스트를 제공된다. 요하네스는 이 사실을 설치 작업에 활용하기로 결정한 반면, 나는 이 텍스트를 오디오로 변환하고 음악을 입히고 자막을 통해 독일어에서 한국어로 다시 번역하는 방식을 택했다.
두 번째 영상은 홍천에 머물면서 작곡한 노래의 뮤직비디오로, 먹고 마시고 예술에 실패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세 번째 영상은 전수현 작가가 어느 날 저녁 중앙시장 옥상에서 나와 진행한 짧은 ‘인터뷰’인데, 기본적으로 실패와 방황에 대한 두려움을 나누는 이야기이다.

Curator Note 큐레이터 노트

Maksymilian Suwiczak extends the text of the “Worinseokbo” into a spoken word or even music performance. While Johannes Klemen’s translation is aimed at representing the language of the unconscious, Maksymilian Suwiczak’s translation utilizes the ancient text as meaningful material for a multimedia expansion. The artist’s video sketches of daily life in Hongcheon and the night-time interview, on the other hand, are quite autobiographical but also a form of self-irony. His music, likewise constructs and reproduces the everyday. Art is bound to life, but also ‘amplifies’ (and extends) it. (Kim Min-kwan)

막시밀리안 수위착은 역시 월인석보의 텍스트를 가져오되 문자가 아닌 음성으로, 나아가 음악으로 연장한다. 요한네스 클레멘의 번역이 무의식적 언어의 형상을 향한다면, 막시밀리안 수위착의 번역은 매체적 확장을 위한 유의미한 재료의 활용에 가까워 보인다. 반면, 작가의 홍천의 일상 속 자신의 활동을 스케치하는 영상과 인터뷰 영상은 다분히 자서전적이고 자조적인데, 그러한 차원에서 음악 역시 삶을 구성하고 재현하는 것으로서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곧 예술은 삶과 유착되되 그 삶을 ‘증폭’(확장)하는 것이다. (김민관)

Exhibition2023Hongcheoncrossing MaksymilianSuwiczak artist 2023 Youtube